역사를 알자162 우크라이나 분쟁이유 : 러시아 침공설 배경 /원인 정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설이 심상치않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설. 러시아가 현재 수만명의 병력을 우크라이나 국경 주변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2차세계대전이후 최대 규모의 군사활동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런 우크라이나를 두고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 . #2021.12.07 러시아-미국 정상회담 약 열흘 전엔 바이든과 푸틴의 정상회담이 있었다. 코로나 시국을 고려해서인지 회담은 화상으로 진행되었다 심난한 갈등을 풀어보고자 잡은 회담이었지만 양국 정상 각자 자기 할말만 하다가 끝이 났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 우리 러시아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위협에 대응한 것일 뿐~ (셀프디펜스 중일 뿐이라구!) 우크라이나 분쟁의 책임은 나토에게 있다~ *나토(NATO):.. 2021. 12. 19.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화천대유 사건 정리 요즘 일부 언론과 국민의힘이 목에 핏대를 세워가며 화천대유 누구꺼냐고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제2의 다스는 누구꺼? 시리즈같다.) 이름조차 생소한 화천대유..라는 회사가 막대한 돈을 벌었는데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 특혜를 줬을 거라는 의혹이란다. 도대체 뭐야 이건~ 하고 조금 찾아봤더니 국민의힘.. 제 무덤을 파고있는 것 같다. 방귀 뀐 놈이 성낸다더니.. 국민을 얼마나 호구로 보면 저런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저러나싶다 ㅠㅠ . . #화천대유 사건(?)정리. 화천대유 누구껍니까~ 라고 여기저기서 현수막까지 설치해서 논란을 제기하니 화천대유사건이라고 대부분 부르고있는데 사실 이건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대장동 토지 관련사업과 관련된 사건이다. 뭔가 여러 회사이름이 나오고 해서 복잡해보이지만 참 간단하다. .. 2021. 9. 26. [아프가니스탄] 미국이 탈레반을 이길 수 없는 이유 2021년 8월 15일. 광복절 76주년의 날. 지구 건너편 아프가니스탄(=아프간)이라는 나라에서 일어난 이야기다. 탈레반이 결국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했다. 지난 5월, 미국이 아프간 파병 미군의 철수를 시작한지 3개월만이다. 이날 탈레반은 아프간 정부를 상대로 한 내전에서 사실상의 승리를 선언했다. 음.. 사실 아프간 정부를 상대로 승리했다고 말하긴 했지만, 미국을 상대로 승리한 거나 마찬가지라 볼 수 있다. 2001년 이후 20년동안 미국이 자국 군대를 파병해 주둔시키고 100조원가량의 천문학적 금액을 아프간 정부에 지원하며 탈레반과의 전쟁을 도왔다가 아무것도 얻지 못한 채 철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무튼.. 탈레반은 아프간 수도 카불에 있는 대통령궁을 장악해버렸다. 한 나라 수도에 있는 대통령궁까지 .. 2021. 8. 17. [The things they carried] 베트남전쟁 배경/원인 정리. The things they carried 라는 책에 빠져서 처음으로 자세히 공부하게 된 베트남전쟁 역사 정리 타임. #베트남전쟁(1955~1975) 베트남은 오랜 식민지배를 받은 나라였다. 1858~ 프랑스지배 -> 제2차세계대전~ 일본지배 -> 1946~1954 프랑스지배(2차세계대전 일본 패배 후) 베트남은 독립을 위해 끊임없이 싸웠고, 독립운동을 이끈 호찌민 지도자의 주도 하에 1954년, 프랑스를 물리친다. 그런데 드디어 그토록 바라던 독립이 오나 했더니, 이제 다른 서구 열강들의 간섭을 받는다. 미국 등의 강대국들은 베트남이 사회주의국가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가뜩이나 중국, 소련때문에 골치 아픈데 베트남만은 막아야해! 미국은 프랑스가 물러난 뒤 중국, 소련 등을 견제할 전략적 요충지로서 .. 2021. 6. 7.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유 및 생각 며칠 전, 이스라엘 동예루살렘의 알아크사 사원(이슬람 3대 성지)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반이스라엘 시위가 있었다. 올해 4/12~5/12는 이슬람교에선 라마단*기간이라 팔레스타인 주민 수만명이 사원에 모여 종교의식을 치르는데 이중 일부가 하마스**의 깃발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기 반 이스라엘 시위를 시작했다고 한다. (*라마단=이슬람교에서 행하는 한달가량(이슬람력으로 9번째 달)의 금식/금욕을 해야하는 성스러운 기간으로 이슬람교도는 라마단기간 중 해가 떠있는 시간엔 음식과 물을 먹을 수 없고 흡연, 성행위 등도 할 수 없다. 해가 지면 가능. **하마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위치한 이슬람 무장단체. 아랍어로 하마스는 알라를 따르는 열정을 뜻한다. 이스라엘과 미국 등은 하마스를 테러단체로 규정하고 있다... 2021. 5. 13. 후쿠시마 원전사고: 방사능 오염수 방류가 안전하다고? 2011년 3월 11일, 역대급 규모의 대지진과 쓰나미로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이 손상되며 인간은 물론 그곳에 살던 수많은 생명체들이 희생되었던 참사가 일어났었다. 당시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수준을 레벨 7로 발표하였다. 원전 방사능 유출사고가 끔찍한건 사고가 일어난 그 직후는 물론, 오랜 시간이 흐르더라도- 후손들까지. 몇세대에 걸쳐 그로인한 피해가 계속된다는 것에 있다. 일본은 사고가 일어난 한달동안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INES를 몇차례 격상하였다. (4등급(사고 직후) -> 5등급(2011.03.18) ->7등급(2011.04.12))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심각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졌기 때문이다. 레벨7은 1986년 있었던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동급으로,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0~7.. 2021. 4. 22. 미얀마 쿠데타/시위 이유 정리, 왜? 2021년 2월 1일.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발생했다. 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이 대통령, 아웅산수치(Aung San Suu Kyi) 국가고문 등 정부 핵심인사들, 민주주의 운동가 등을 구금했다. 작년 11월 총선에서 아웅산수치가 이끄는 민주민족연맹(NLD)정당이 압승한 것에 대해 군부가 부정선거라며 불복한 것. 부정선거였음을 증명하는 증거는 대지 않았다. "부정선거 의혹제기 -> 선거 불복" 뭔가 이번 미국 대선때 바이든에게 패배한 트럼프와 많이 닮은 듯 했지만 불복 차원이 달랐다. 쿠데타 이후 전국적으로 수십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군부에 대항하는 대규모 시위를 일으키고 있는데 군인들이 이들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당하고 있다. 20일이나 지난 지금까지 외신은 미얀마 쿠데타에.. 2021. 2. 21. [공매도] 게임스탑 사태 정리: 서학개미운동 얼마 전 미국에서 일어난, '게임스탑' 주식을 들고 일어난 개미들의 반란-은 전세계 금융시장을 흔들었다. 주식엔 별로 관심이 있지 않아 그간 주식 관련 핫이슈 기사들이 나와도 거의 읽지 않고 그냥 넘어갔는데 . 이번 미국에서 일어난 게임스탑 사태로 인해 관심이 생겨 일주일동안 이 사건 관련 기사들만 찾아보게 되었다. . 이번 기회로 주식관련 용어들도 더 확실히 알게 되었다. 자본주의, 스마트폰 사회의 밝고 어두운 면을 고루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생각하여 정리하고 싶었다. 게임스탑 사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매도'라는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공매도(short stock selling, short)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이다. 여기서 빌.. 2021. 2. 4. 이전 1 2 3 4 5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