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12

광양주짓수: 여자가 남자를 이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운동. 주짓수를 처음 배우기 시작한 건, 작년 8월 중순 즈음이었을 것이다. 그 때는, 지금처럼 이 운동을 이렇게 좋아하게 될 줄은 몰랐었다. 4개월 정도 배우면서,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날을 제외하고는 거의 매일매일 나갔었던 것 같다. 회사에서 퇴근을 하고 나면 정신도 몸도 엄청 피곤했는데, 도장을 갔다오면 오히려 쌓였던 스트레스도 없어지고 몸도 가뿐해지고. 운동 자체도 너무 재밌는데, 사범님도, 도장사람들도 너무 좋고. 그래서 나에게 처음 주짓수를 알게 해주시고 가르쳐주신 팀패션- 주천 사범님께 너무 감사하다. 정말 매력적인 운동인 것 같다, 주짓수는. 그러다 12월. 직장을 옮기게 되고 이사를 가게 되면서- 2개월 정도 쉰 것 같다. 매일 나가던 운동을 잠시 나가지 않게 되니 몸도 뻐근하고 알게 모르게 .. 2017. 4. 8.
IS는 누구? 이슬람 테러조직: 알카에다와 IS 비교 정리 지난번 이슬람교- 수니파, 시아파에 대한 글에 이어, 오늘은 이슬람 무장테러조직인 알카에다와 IS에 대한 글을 쓰고자 한다. (먼저 알카에다와 IS 둘 모두 이슬람교무장조직이고 이슬람교의 두 분파인 '시아파'와 '수니파'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할 예정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 한꺼번에 적기엔 너무 글이 길어져서 나눠서 정리했다. 이슬람교 수니파와 시아파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http://boriborikim.tistory.com/188 이슬람 무장단체는 셀 수 없지 많지만 , 그 중 잔혹하고 끔찍한 다양한 수법의 테러나, 참수 동영상 배포 등으로 잘은 몰라도, 이름은 많이 들어본 조직은, 알카에다와 IS이다. 국제사회에 관심이 없더라도 몇 번 들어는 봤을 것이다. 어제는 시리아에.. 2017. 4. 6.
말많은 이슬람교 분쟁 원인: 수니파, 시아파에 대해서. 시리아 북부 지역에서, 알아사드 정부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독가스 공습으로, 어린이 11명을 포함한 다수의 민간인들이 숨졌다는끔찍한 기사를 보았다. 시리아는 참 이전부터 테러와 공습으로 조용한 날이 없는 나라이다. 그것도, 다른 나라끼리 싸우는 것도 아니고 자기들 나라에서. 같은 국민들을 대상으로. 말도 안된다 정말. 왜 이렇게 말썽이 많을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이유가 '종교'이다. 시리아는 이 나라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알 정도로, 대표적인 이슬람 국가이다. 오늘은 이 이슬람교에 대해 정리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 같은 기독교도 감리교, 장로교.. 등 교파가 200가지가 넘게 있다고 한다.같은 신을 믿지만 교파에 따라 교리가 조금씩 다르다. 이슬람교도 마찬가지.그 중.. 2017. 4. 5.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1) ~수밖에/~뿐만아니라/~만에/~처럼/~만큼 매일 쓰는 우리말 한글이지만, 컴퓨터/스마트폰 등을 통해 채팅용어를 쓰면서 점점 올바른 우리말 쓰는 법을 잊어가고 있다. 오늘은 자주 헷갈리며 , 틀리는 띄어쓰기에 대해 쓴다. . . 1. 수밖에는 붙여쓴다. 할 수 밖에 (x) -> 할 수밖에 그럴 수 밖에 없었다. (x) -> 그럴 수밖에 없었다. 2.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쓴다. 그런데 숫자와 같이 쓰이면 붙여 써도 된다. 이 책 열권만 주세요. (x) -> 이 책 열 권만 주세요 / 이 책 10권만 주세요 / 이 책 10 권만 주세요. 오천원만 빌려줘. (x) -> 오천 원만 빌려줘. 벌써 두시간이나 흘렀다. (x) -> 벌써 두 시간이나 흘렀다. 물 한모금만 줘 (x). -> 물 한 모금만 줘. 3. 뿐만 아니라 , 뿐이다 -> 앞에 명사가.. 2017. 4. 4.
제주 4.3사건 정리. 이승만정권과 미군정의 제주도민 학살. 오늘은 제주 4.3 항쟁이 일어난지 69주년 되는 날. 추념일이 있는 이유는 매일매일이 바쁜 일상 속에서 많은 것들을 놓치고 그냥 지나치게 되지만, 그래도 일년에 한번이나마, 그 때를 생각하고 기억하기 위해서이다. . .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제주도에서의 시위중인 군중들과 경찰/군인들의 유혈충돌사태. 1954년 9월 21일까지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제주도 주민들이 목숨을 잃었다. 한국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많았던 비극적인 사건. (사진출처: http://jejupark43.1941.co.kr/pages.php?p=2_3_1_1 영상캡쳐. )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는 일제의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나, 독립함으로써 나라의 주권을 .. 2017. 4. 3.
주짓수도복 추천. 스매셔 Smassher 요즘 집, 사무실, 도장, 집... 퇴근하면 저녁 먹고 주짓수를 배우러 가서 , 집에 돌아오면 잘 시간. 남들은, 그리고 가족들도 일 끝나고 쉬고 싶지 않냐고 어떻게 매일 그렇게 운동을 하러 다니냐고 그러든데 좋아하는 운동을 하면 오히려 피곤도, 그 날 하루의 스트레스도 풀린다. 뭐든지 좋아해야, 꾸준히 하는 것 같다. 해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스파링을 몇번 하고 나면 온 몸에 땀이 난다. 그리고 주짓수가 상대와 신체 접촉이 많은 운동인 만큼, 도복을 청결하게 하는 것 역시 상대에 대한 예의이다. 보통 한 번 땀흘린 도복은 세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나처럼 시간이 된다면 꼭 수련 참여를 하는 사람에게는 세탁, 건조시간까지 생각해서. 최소 2-3벌은 있어야 한다. . . . 이번에 친한 친구가 공들여 .. 2017. 4. 2.
견원지간인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 원인? 인도와 파키스탄은 견원지간, 사이가 매우 좋지 못하다. (사진출처:코리아데일리) 이탈리아 여행을 하고 있었을 때 피렌체에서 묵었던 호스텔의 매니저가 파키스탄 사람이었었다. 이 친구와 잠이 들기 전까지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었는데, 참 순해보이고 착해보이는 그 친구가 인도 이야기만 나오면 흥분하면서 그 국가와 사람들 자체를 폄하했었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여행중인 나에게, 다음엔 어떤 국가를 여행하고 싶냐고 물어봐서, 나중에 시간이 난다면 인도여행을 꼭 가보고 싶다고 하니까, 열을 올리며 인도는 여행하기 최악의 국가라면서- 특히 나같은 외국인 여자에게는, 성폭행 당하기 딱 좋은 곳이라면서 절대 가지 말라고 극구 말렸었다. 그러면서, 파키스탄은 이슬람 국가라- 그 신을 경외하기에, 신이 원치 않는 것은 절대 .. 2017. 3. 30.
강아지 꼬리 자르는(단미) 이유, 위생상 필수라서? 강아지 꼬리. 꼭 잘라야할까? (사진출처: http://petxlab.com/ ) 위의 두 사진은 같아보이나 다른 점이 있다. 바로 꼬리. 2번 강아지는 꼬리가 없다. 강아지가 나면서부터 꼬리가 없진 않았다. 사람들이 자른 것이다. 강아지 꼬리 자르는걸 '단미(斷尾)'라고 한다. 끊을 단, 꼬리 미. 영어로는 docking. 그렇다면 왜 잘 달려있는 꼬리를 일부러 끊어버리는 것일까 ? 옛날에는, 개들을 사냥에 이용하면서, 나뭇가지 같은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좀 더 빨리 달리게 하도록 다른 동물들에게 물리지 않도록 사냥의 효율을 위해 자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또한 중세 이전에는 광견병의 원인이 개의 꼬리라고 추정되어 단미했다는 가설도 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 2017. 3. 28.